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는 정책금융상품, 청년도약계좌를 통해 최대 연 9.54%의 금리 효과와 정부의 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신청 방법부터 주요 은행 금리 비교까지 상세하게 안내해드립니다!
✅ 신청 방법
① 신청 기간 안내
서민금융진흥원에서 정한 기간에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. 2025년 7월 신청은
7월 1일~11일입니다. 이후 1인가구는 7월
17일~8월 8일, 2인 이상 가구는 7월 28일~8월 8일까지 계좌
개설이 가능합니다.
② 참여 은행 앱 또는 웹
국민은행, 신한은행, 하나은행, 우리은행, 농협, 기업은행, 부산은행, 광주은행,
전북은행, 경남은행, iM뱅크 등 지정된 11개 은행의 모바일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
전용 메뉴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. 은행별로 청년도약계좌 메뉴가 있으며, 신청
가능 시간은 은행별 운영시간에 따라 상이합니다.
③ 자격 확인 및 계좌 개설
서민금융진흥원이 신청자의 연령(만 19~34세), 총급여액(개인소득), 가구소득
중위값 이하 여부, 금융소득종합과세 여부 등을 확인해 자격요건을 충족하는
경우에만 계좌 개설이 가능합니다. 사전 자격확인 후 계좌가 자동으로 개설되지
않으며, 자격확인 후 본인이 다시 은행 앱에 접속하여 개설 절차를 완료해야
합니다.
✅ 은행별 금리 비교 (2025년 7월 기준)
은행 | 기본 금리 | 우대 금리 | 최고 연 금리 |
---|---|---|---|
국민은행 | 4.50% (3년 고정, 이후 2년 변동) | — | 6.00% |
신한은행 | 4.50% (60개월) | 최대 +1.50% | 6.00% |
우리은행 | 4.50% (5년) | 최대 +1.00% | 5.50% |
하나은행 | 4.50% (전 기간) | 최대 +1.50% | 6.00% |
농협은행 | 4.50% | 우대 없음 | 4.50% |
▶ 참고: 최대 연 9.54% 금리 효과는 은행 제공 이자 + 정부 기여금 +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을 종합한 기대 수익률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