청년도약계좌 자격조건 확인하기

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는 정책금융상품, 청년도약계좌를 통해 최대 연 9.54%의 금리 효과와 정부의 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신청 방법부터 주요 은행 금리 비교까지 상세하게 안내해드립니다!



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과 은행 금리






✅ 신청 방법


① 신청 기간 안내


서민금융진흥원에서 정한 기간에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. 2025년 7월 신청은 7월 1일~11일입니다. 이후 1인가구는 7월 17일~8월 8일, 2인 이상 가구는 7월 28일~8월 8일까지 계좌 개설이 가능합니다.

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과 은행 금리



② 참여 은행 앱 또는 웹


국민은행, 신한은행, 하나은행, 우리은행, 농협, 기업은행, 부산은행, 광주은행, 전북은행, 경남은행, iM뱅크 등 지정된 11개 은행의 모바일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전용 메뉴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. 은행별로 청년도약계좌 메뉴가 있으며, 신청 가능 시간은 은행별 운영시간에 따라 상이합니다.


③ 자격 확인 및 계좌 개설


서민금융진흥원이 신청자의 연령(만 19~34세), 총급여액(개인소득), 가구소득 중위값 이하 여부, 금융소득종합과세 여부 등을 확인해 자격요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만 계좌 개설이 가능합니다. 사전 자격확인 후 계좌가 자동으로 개설되지 않으며, 자격확인 후 본인이 다시 은행 앱에 접속하여 개설 절차를 완료해야 합니다.


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과 은행 금리






✅ 은행별 금리 비교 (2025년 7월 기준)


은행 기본 금리 우대 금리 최고 연 금리
국민은행 4.50% (3년 고정, 이후 2년 변동) 6.00%
신한은행 4.50% (60개월) 최대 +1.50% 6.00%
우리은행 4.50% (5년) 최대 +1.00% 5.50%
하나은행 4.50% (전 기간) 최대 +1.50% 6.00%
농협은행 4.50% 우대 없음 4.50%

참고: 최대 연 9.54% 금리 효과는 은행 제공 이자 + 정부 기여금 +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을 종합한 기대 수익률입니다.



✅ 핵심 요약


  • 📅 신청 기간: 2025년 7월 1일~11일 (이후 가구 유형별 일정 따름)
  • 🧑 대상 조건: 만 19~34세, 근로소득자 또는 사업소득자, 총급여 7,500만 원 이하
  • 🏦 신청 방식: 국민, 신한, 우리, 하나 등 11개 은행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신청
  • 💰 금리 혜택: 기본금리 4.5% + 우대금리 최대 6.0%, 정부 기여금 포함시 최대 연 9.54%
  • 📌 주의사항: 자격 확인 후 직접 은행에서 다시 계좌 개설 필수


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물어봐 주세요!



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과 은행 금리